-
목차
드디어 은나라의
마지막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은 주왕(紂王)의 폭정은
점점 더 심해졌다.
만백성이 그를
원망하고.
오히려 주나라의
서백을 흠모했다.
그런데
그 서백이 병을 얻어
죽고 말았다.
주나라는 발(發)에게 물려진다.
그가 바로 주 무왕(武王)이다.
고우영 십팔사략 1권 181페이지
무왕(武王)은
태공망(太公望) 강상(姜尙)을
사부(師父)로 모시고
나라 살림을 맡깁니다.
https://woo2father.tistory.com/25?category=375085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⑦ 서백 창(昌) - 고우영의 십팔사략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오늘은 주나라가 어떻게 은나라 말기에 으뜸가는 제후국으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계기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서북쪽 먼 나라 견융국(犬戎國)에는 좋은 말이 생산된다. 유신(有莘)에..
woo2father.tistory.com
아우 단(旦)은 계속해서
빈틈없는 보좌를 해서
국정을 다져나갑니다.
그리고 어느 날
주(周) 무왕(武王)이
하늘을 대신해
폭군을 벌하려 한다는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켰습니다.
그러자 동시에
800 제후가
행동을 같이했습니다.
이런 일이 일어나던 무렵
일전에 이야기하였던
고죽국(弧竹國)을 나와 방황하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형제는
그런 일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https://woo2father.tistory.com/21?category=375085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③ 백이숙제(伯夷叔齊) - 고우영의 십팔사략
주왕(紂王)과 달기(妲己)의 본격적 만남이 시작되기 전에 고우영 십팔사략은 잠깐 다른 쪽으로 시선을 돌립니다. 여기서 잠시 이상한 형제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간다. 작지만 착하고 고요한 고죽국(弧竹國)... 고..
woo2father.tistory.com
방랑 생활을 하며
힘들어할 때
주(周)의 서백이
덕이 많다는 소문을 듣고
주나라를 찾아가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주나라의
풍읍에 당도해보니
서백 창은 이미 죽은 뒤이며,
그의 아들 발(發)이
무왕(武王)이 되어
천자인 은 주왕(紂王)을
토벌하러 가는 중이었습니다.
그 소문을 들은
두 형제는
아무리 폭군이라 해도
천자는 천자라는
생각을 갖고,
신하가 왕을 토벌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주 무왕(武王)의
군대를 막아서려 합니다.
그것을 본 병사가
칼을 들어 치려 할 때
군사 태공망(太公望)이
칼 든 병사를 제지했습니다.
그리고
...
강상(姜尙) : ‘저들은 의로운 사람들이다’
...
라는 말을 하고
두 형제를 지나쳐갑니다.
천자를 토벌하러 가는
주나라 군사들이 지나간 자리에…
백이(伯夷)와 숙제(叔齊)형제는
‘요순시대(堯舜時代)의
법도는 어디로 가고
포악한 세상이
되고 말았구나!’라며
슬퍼하며 한탄합니다.
https://woo2father.tistory.com/14?category=375085
1권 3장 오제(五帝) ② 요(堯)임금 - 고우영의 십팔사략
최근 며칠간 바쁜 일들이 있어.. 매일 포스팅하려던 다짐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날짜로 보니 2일만에 포스팅이네요^^; 다시 집중하여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인간의 재물욕과 권력욕은 끝이 없습니다. 어느 정도..
woo2father.tistory.com
https://woo2father.tistory.com/15?category=375085
제 1권 3장 오제(五帝) ③ 순(舜) 임금 - 고우영의 십팔사략
요순시대(堯舜時代) 전설과도 같은 옛날 중국 역사에 가장 태평성세를 이루었던 시기입니다. 지난 시간에 살펴본 요(堯)임금에 이어서 순(舜)임금의 이야기를 살펴보려 합니다. 순(舜)은 심성이 너무 착해서 오히..
woo2father.tistory.com
그때,
무왕(武王)을 응원한 제후가
800이나 되었지만
은 주왕(紂王)의 토벌은
뒤로 미뤄집니다.
이길 가능성은 7~8할이 되었지만,
완전한 승산이 있기 전에는
싸움을 피하는 것이, 불필요한
희생을 막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한 발 물러섭니다.
들고 일어났던 제후들은
실망하였지만, 일단 철수하였습니다.
그런데
모두가 기다리던 절호의 기회는
얼마 가지 않아서
스스로 찾아오게 됩니다.
비간(比干)은 은 주왕(紂王)의
숙부 되는 사람으로
은나라 최고의
인격자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비간의 이미지 폭군은 인격자인
숙부를 해치고 맙니다.
...
달기(妲己) : 성인의 심장에는
일곱 개의 구멍이 있다던걸요?
주왕(紂王) : 그런가?
그거 보고 싶구나!
달기(妲己) : 잔소리꾼 비간(比干)은
성인입니까?
주왕(紂王) : 응!
끌어와!
눈으로 확인해서
수수께끼를 풀겠다!
…
끌려온 비간(比干)은
이렇게 말합니다.
…
비간(比干) : ......
드디어..
이 나라는
망하게 되는구나..
...
비간(比干)은 살해되어
심장이 꺼내지고..
(실제로 구멍이 7개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은나라 최고의 인격자
비간(比干)의 죽음은
드디어 모든 사람들의
가슴에 공분을 일으키는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이날을 누구보다도
고대하던 사람은
주공 단(周公 旦)이었습니다.
고대하는 것 뿐 아니라
그 상황을 만든것이
단(旦)의 역할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 무왕(武王)의 군사는
천하의 세를 등에 업고
주 무왕 희발 그 짧은 전쟁에서
쉽게 승리합니다.
중국 제 2왕조 은(상)나라
죽서기년(竹書紀年)에는
31대 496년간,
십팔사략(十八史略)에는 692년간,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어쨌든 3천 년 전에
망한 왕조입니다,
전쟁에서 패하여
쫓긴 몸이 되어버린
은 주왕(紂王)은
보물창고 녹대(鹿臺)로 올라갑니다.
https://woo2father.tistory.com/19?category=375085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① 주왕(紂王) - 고우영 십팔사략
오늘부터 은나라 마지막 시대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어떤 계기를 통해 주나라(서주(西周))가 세워지는 지 서주(西周)는 어떤 과정을 통해 내리막을 걷게 될 지에 대해 열 한편의 글을 통해 만나보겠습니다...
woo2father.tistory.com
그리고
그때까지 긁어모았던
온갖 보물을 타고 앉아
마지막 술을 마시면서
스스로 분사하고 맙니다.
...
주왕(紂王) : 네깟 놈들에게
지고 가는 것이 아니다.
나는 나 스스로
불나라로 가는 것이다.
...
폭군의 대명사
은나라 마지막 왕
주왕(紂王)은
그렇게 불타서 죽습니다.
녹대(鹿臺)를 태운 불이
꺼지고 난 후에
불탄 시체가
발견됩니다.
하늘을 대신해
폭군을 멸한다는
명분이 있었기에
거기에 맞는
의식을 행합니다.
주 무왕(武王)이
손수 활을 잡아
주왕(紂王)의
시체에 벌을 줍니다.
총 세대의 화살을
주왕(紂王)의 시체에 꽂습니다.
...
첫번째 화살
하늘을 거역한 죄를 다스리는 금시
두번째 화살,
나라를 망하게 한 죄를 다스리는 은시
세번째 화살,
백성을 도탄에 빠뜨린 죄를 다스리는 동시
...
그리고 마지막으로
황월, 천자의 이름으로 국적을 벌주는 금도끼
새까맣게 타버린
은 주왕(紂王)의 시체는
그 목이 잘려
백기를 단 창 끝에 찍혀
효수(梟首)됩니다.
그리고 그 의식대로
폭군을 벌한 무왕 발(武王 發)은
이제 새로운 천자(天子)가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다.
혁명의 공약 중에는
주왕(紂王)의 폭거에 대해
‘달기(妲己)라는 여인의 농간에 빠져
스스로 하늘과의 인연을 끊었다.’
라는 대목이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모두들
달기(妲己)에게도 벌을 줘야 한다고
소리높여 말합니다.
하지만 단(旦)은
머리속이 복잡해졌습니다.
자신이 직접 길러냈으며,
주왕(紂王)을 파멸시킨
일등공신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https://woo2father.tistory.com/20?category=375085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② 달기(妲己) - 고우영 십팔사략
은왕조의 패망과 주왕조의 시작에 대한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앞의 이야기를 보고싶으시면 다음 링크를 통해 전편을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https://woo2father.tistory.com/19?category=375085 제 1권 6장 주..
woo2father.tistory.com
죄인의 신분이었지만
단(旦) 앞에 끌려 온
달기(妲己)는 태연했습니다.
...
달기(妲己) : 너무 오래 걸렸습니다만...
시키신 일을 마쳤습니다.
훌륭히 성공했지요?
단(旦) : !!
(이 아이는...
처음부터 내 심중을
정확히 알고 있었구나....)
...
말을 잊지 못하고
있던 단(旦)은
결국 말합니다.
...
단(旦) : 처단하라!
달기(妲己) : ?!?
...
(정치의 세계는
참 비정합니다.)
그리고 중국 역사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운
악녀의 대명사 달기(妲己)도
처형당합니다.
무왕(武王)은
달기(妲己)의 몸에도
3발의 화살을 쏘고
그 머리는 역시
백기를 단 창에 꿰어
폭군 주왕(紂王)과
나란히 효수(梟首)됩니다.
그리고
이 날이 바로
중국 제 3대 왕조
주(周)가 시작된 날입니다.
이렇게 은나라의 멸망과
주나라가 천하의 패권을
차지하는 것을 8편의 글을 통해
만나보았습니다.
이제 1권의 내용도 거의 끝나갑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함께해주시기 바랍니다.
‘優2父’
고우영 십팔사략 전10권 세트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고우영의 십팔사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⑨ 불식주속(不食周粟) - 고우영의 십팔사략 (0) 2020.04.21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⑦ 서백 창(昌) - 고우영의 십팔사략 (0) 2020.03.10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⑥강태공(姜太公) - 고우영의 십팔사략 (0) 2020.03.09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⑤ 백읍고(伯邑考) - 고우영의 십팔사략 (0) 2020.03.08 제 1권 6장 주왕조(周王朝) ④ 주지육림(酒池肉林 ) - 고우영의 십팔사략 (0) 2020.03.06